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올가토카르추크
- 북트레일러
- 은하수를여행하는히치하이커
- 크리스퍼카스9
- 해달책방
- 신체설계자
- 근위축증
- 신체증강
- 초사회화
- 애덤피오리
- 북리뷰
- 책리뷰
- 유전자가위
- 빡빡이아저씨
- 관심경제
- 북튜버
- 2018노벨문학상
- 히치하이커를위한안내서
- 키메라연구
- 호모데우스
- 방랑자들
- 하이프머신
- 유발하라리
- 유튜버
- 시난아랄
- 데이터보호
- 분자생물학
- 스파르타코딩클럽
- 뒤센형근위축증
- Hypemachine
- Today
- Total
해달책방
연봉 240억원 권오현 회장이 말하는 │사회초년생이 회사에서 하지 말아야 할 3가지 │갖춰야 할 4가지 역량│초격차 본문
연봉 240억원 권오현 회장이 말하는 │사회초년생이 회사에서 하지 말아야 할 3가지 │갖춰야 할 4가지 역량│초격차
SEA OTTER'S BOOKSHOP 2019. 5. 22. 16:06우리들은 고등학교 혹은 대학교를 졸업하면 당연하게 취업을 고려하게 됩니다. 돈을 벌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가업을 물려받거나 창업하는 것을 고려하는 학생들도 있지만, 그들 역시 성공확률을 높이기 위해 직장생활을 꼭 거치곤 합니다.
취업을 하고 보면 꿈꿔왔던 회사생활과 완전 다르다는 점을 깨닫고 당황스러움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기업에 입사하기 전 현실을 직시하기 위해 꼭 읽어야 할 책 중 하나인, ‘초격차’를 소개합니다.
초격차는 삼성 종합기술원 권오현 회장이 집필한 책입니다. 연봉 240억원을 받아 샐러리맨의 기적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그는, 이 책에서 33년간 삼성에서 느낀 점들을 정리했습니다. 주로 과장급 이상은 되어야 적용할 수 있을만한 조직경영법을 다루고 있지만, 덕분에 사회초년생들이 갖춰야 할 인성과 역량이 무엇인지 리더의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게 해줍니다.
우선 사회초년생들이 회사에서 하지 말아야 할 3가지를 예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첫번째는 ‘남의 말을 경청하지 않는 것’ 입니다.
“성공한 사람들 말 듣지마~ 다 케이스 바이 케이스고~ 운칠기삼이야~자기계발서? 다 필요 없어~ 그거 다 정신 승리지 뭐~”
혹시 이 마인드로 영상을 보고 계시는 분들이 계신가요? 축하 드립니다. 당신은 조직에서 제거되어야 할 첫 번째 대상으로 선정되었습니다. YOU ARE FIRED
두번째는 ‘매사에 부정적이고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 입니다.
"아아 마이크 첵 원투원투 도대체 김팀장님은 이런일을 왜 시키는거야? 무슨 도움이 된다는건지 이해가 안되네. 이거 한다고 뭐가 바뀌겠어?"
업무에 소극적으로 접근하는 직원은 조직에서 제거 되어야 합니다. YOU ARE FIRED
세번째는 ‘뒷담화하기’ 입니다.
상사 : "윤대리 내일 오전까지 신제품 마케팅 기획서 책상위에 올려 놔줘. 나 먼저 퇴근한다."
윤대리 : "넵!" (귓속말) '아 진짜 짜증나 오늘 퇴근하고 드라마 몰아서 보려고 했는데 갑자기 내일 오전까지 기획안 올리래.'
이렇게 불평불만에 시간을 쏟는 직원은 조직문화를 해치기 때문에 제거되어야 합니다. YOU ARE FIRED
사실 신입 직원이 동료들 앞에서 앞선 세 가지 행동을 하기는 어렵긴 합니다. 하지만 조금만 시간이 지나도 초심을 잃을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긴장이 풀려 회사의 모든 것을 다 아는 사람처럼 행동할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조직 내부에서 롱런하기 위한 마음이 있다면, 이 3가지는 꼭 하지 않도록 합시다.
그렇다면 책 제목처럼 비교 불가한 격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요?
첫째는 전공 공부 제대로 하기입니다.
전기전자공학 전공자가 MBA를 수료하고 인문학 공부를 많이 한다고 해서 회사는 바로 부장 직급을 주지 않습니다. 전자공학을 전공한 사람은 전기전자 공부에 전념해야 합니다.
둘째는 독창적으로 실패해보기입니다.
살면서 실패를 극복해 본 경험은 무엇인가요? 채용면접 때 면접관들이 꼭 물어보는 이 질문에, 대부분은 입시 혹은 상사의 지시를 실패하고 극복한 경험을 예로 든다고 합니다. 하지만 권오현 회장은 이런 경험은 겉으론 성공으로 보여도 개인에게 남는게 없다고 경고했습니다.
명문대 졸업장과 월급을 얻을 수 있는데 뭐가 남지 않는다는 건지 의문을 가지시는 분들이 계실 겁니다.
이에 대해 권오현 회장은 ‘초격차를 가진 리더가 되고자 한다면, 역경에 수동적으로 방어만 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합니다.’ 근본적인 시스템을 바꾸는 아이디어를 학생 때부터 제안해 보는 것이 초격차 리더가 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당장 유의미한 변화는 없더라도, 3년 혹은 5년 후에 되돌아볼 때 평범한 실패는 독창적 실패로 바뀌어 조직을 변화시킬 것입니다.
셋째는 다양한 방면에 호기심 가지기 입니다. 3년, 5년 후의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호기심이 필요합니다. 남이 시키기 보다는 스스로 다양한 방면에 관심을 가지고 궁금증을 해결해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넷째는 잘못이나 실수가 있으면 인정하기입니다. 회사에서 일을 하다보면 실수를 하는 일이 간혹 발생합니다. 실수한 후에는 잘못을 인정하고 수정하겠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초격차에서 여러분들과 공유하고 싶은 부분을 7가지로 뽑아 정리해보았습니다. 이 7가지를 명심하여 저와 여러분들이 함께 원하는 일에서 롱런할 수 있길 바랍니다. 신경 쓸 부분이 너무 많아서 직장인이 되면 정말 골치 아플 것 같다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창업을 하거나 프리랜서가 된다고 하더라도 기업의 리더들과 일을 해야한다는 점을 우리는 명심해야 합니다.